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1

펄사(Pulsar) 펄사란? 펄사는 1967년 조셀린 벨 버넬(Jocelyn Bell Burnell)과 앤서니 휴이시(Antony Hewish)가 처음 발견한 독특한 천체이다. 펄사는 등대 빔과 유사하게 극에서 전자기 방사선 빔을 방출하는 매우 작고 고도로 자기화된 회전하는 중성자별이다. 펄사의 생성 중성자별은 무거운 별이 초신성 폭발을 겪을 때 형성되며 중력에 의해 핵이 붕괴된다. 그 결과물은 엄청나게 밀도가 높고 질량은 태양보다 크지만 직경은 불과 몇 킬로미터에 불과하다. 이 높은 밀도는 중력이 매우 강하고 중성자 별이 각운동량을 보존하기 위해 빠르게 회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성자별의 회전하면서 자극에서 전자기 복사선을 방출하게 되는데 우주로 뻗어나가는 이 빔이 지구를 향할 때만 감지할 수 있다. 이것은 일련의 펄스.. 2023. 5. 2.
오로라(Aurora) 오로라란? 오로라는 북반구에서는 오로라, 남반구에서는 남극광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보통 극지방에서 하늘에서 발생하는 자연광 현상이다. 그것은 지구 상층 대기의 원자 및 분자와 충돌하는 태양의 입자의 산란에 의해 발생한다. 오로라의 색이 다양한 이유 태양은 우주를 여행하고 지구의 자기장과 상호 작용하는 태양풍이라고 하는 하전 입자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방출한다. 태양풍의 하전 입자가 지구 상층 대기의 원자 및 분자와 충돌하면 산란되어 빛의 형태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것이 오로라의 아름답고 다채로운 조명 디스플레이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극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이유 오로라를 극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이유는 자기력선이 모이는 극지방에서 지구의 자기장이 가장 강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태양풍에서 온 하전 입자가 .. 2023. 5. 1.
토성의 고리 토성(Saturn)은 태양계에서 여섯 번째로 멀리 떨어진 행성이며, 가장 아름다운 행성으로 잘 알려져 있다. 가장 큰 특징으로는 커다란 고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인데, 이 고리는 17세기 초 갈릴레이가 최초로 발견하였다. 당시는 망원경의 성능상 고리라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고 '토성의 양쪽에 귀가 붙어 있다'라고 표현했지만 이후 망원경의 성능이 발달하게 되면서 이 귀에 해당하는 부분이 고리라는 것이 밝혀졌다. 현재는 우주선으로 직접 관측이 가능한데 그 결과에 따르면 토성을 둘러싼 대기권과 유사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작은 얼음조각들과 먼지들의 혼합이라고 한다. 토성의 고리는 크게 A,B,C,D,E,F,G 및 Phoebe고리 등으로 나뉘며 이들 각각은 고리 안에 있는 입자들의 밀도와 크기 등의 속성이 다르.. 2023. 4. 27.
우주배경복사(Cosmic Microwave Background Radiation, CMB) 우주배경복사란? 우주 초기의 양성자, 중성자, 전자 등이 상호작용하면서 발생한 복사 에너지가 현재까지도 우주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해 있는 것으로 이 복사 에너지는 마이크로파의 형태로 감지된다. 우주배경복사의 발견 우주배경복사는 1965년에 발견되었다. 그 해 수학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아벨상 수상자인 펜지어스(Penzias)와 윌슨(Wilson)이 벨 연구소에서 무선 전파 관측 실험을 하다가 우연히 무선 신호가 곳곳에서 끊기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것이 우주배경 복사라는 것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우주배경복사의 의의 당시 천문학계에서는 빅뱅이론과 정상우주론이 대립하고 있었는데 우주배경복사가 발견됨으로써 정상우주론이 종말을 고하고 빅뱅이론이 정설로 자리 잡게 되었다. 왜냐하면 정상우주론은 우주가 영원하고.. 2023. 4. 26.